10
07

 

게으르고 새로운 걸 설정하기 싫어하는 나는, 포스트맨을 사용할 때 매번 호스트명과 path variables를 직접 바꿔주곤 했다. 로컬, 개발, 프로덕션 환경 별로 호스트가 다른데 매번 바꿔주려니 여간 귀찮은 게 아니었다. 그럼에도 꿋꿋이 바꿔주며 쓰던 어느 날... 새로운 플젝을 세팅하던 중... 갑자기 이게 너무 끔찍하다는 생각이 들었다.

 

그래서 환경 변수를 세팅하기로 했다.

 

 

 

 

Postman 설치하기

https://formulae.brew.sh/cask/postman

 

postman

Homebrew’s package index

formulae.brew.sh

brew install --cask postman

 

 

 

 

 

환경 변수 세팅하기

우측 상단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현재 선택된 환경의 환경 변수 값들을 확인할 수 있다.

Edit을 눌러서 편집도 가능하다.

 

 

위에서 설정한 아이콘 바로 좌측의 드롭다운을 클릭하면 설정해 둔 환경들이 나온다.

 

 

{{baseUrl}} 처럼 중첩된 중괄호를 사용하여 설정한 환경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.

이렇게 작성해두고 우측 상단에서 환경을 로컬, 개발, 프로덕션으로 바꿔가며 테스트하면 된다.

 

 

 

 

+ 번외

path variables은 어떻게 설정할 수 있을까?

:user_id 처럼 변수 앞에 : 를 붙이면 된다.

그러면 params 밑에 postman이 자동으로 path variables를 추가해준다.

위의 경우 users/2 가 된다.

 

 

 

'개발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Redis 란?  (0) 2022.07.29
[Git] Git 명령어  (0) 2022.07.17
[Python] pip install 시 microsoft visual c++ 14.0 or greater is required 해결  (0) 2022.05.11
Window에서 direnv 설치  (0) 2022.05.03
[MongoDB] MongoDB 설치하기  (0) 2022.03.14
COMMENT